2023년 2학기 융합캡스톤디자인 5조 딩동팀입니다.
기존의 갤러리 플랫폼들에서 공유앨범 기능은 수많은 기능 중에 단지 일부의 기능으로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으로 공유앨범 기능이 제공하는 장점들이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본 프로젝트에서는 공유앨범 기능에 초점을 맞춘 갤러리 앱을 제작하고, 이에 더하여 사진의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지도 위에 사진을 띄움으로써, 여러 장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공유 앨범의 장점을 개인적, 사회적 측면에서 극대화시키고자 하였습니다.
프로젝트명
지도기반 공유앨범 커뮤니티 PicMap
프로젝트 목표
딩동팀의 PicMap 서비스는 단순한 앨범 서비스나 소통 기능 뿐만 아니라 원하는 사람들끼리 그룹을 형성하여 앨범을 만들어나가는 공유앨범 기능과, 그룹의 사진을 지도 위에서 탐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결과물 소개
- 마이페이지 사진탭
- 마이페이지 지도탭
- 마이페이지 써클탭, 써클생성 스크린
- 써클 공유앨범 스크린
- 써클 공유앨범 스크린 - 사진 업로드
왼쪽 하단의 버튼을 통해 사진을 업로드할 수 있다. 여러 장의 사진을 선택하여 업로드 할 수 있으며, 직접 사진을 촬영하여 업로드할 수도 있다.
- 타임라인(공개써클 목록) 스크린
공개 써클의 목록을 볼 수 있으며, 미가입 써클에 가입할 수 있다. 가입 후 바로 접속이 가능하다. 위의 두 번째 사진과 같은 퍼블릭 써클은 공적인 커뮤니티의 역할을 할 수 있다.
- 검색 스크린
- 프로필 편집 및 친구목록
- 다른 유저 페이지 스크린
a8e097de-2dc3-4d17-b497-86a9c1e59284.mp4
Frontend
Backend
- 단순히 사진을 공유하는 것 뿐만 아니라 지도에서 확인하고, 좋아요와 댓글과 같은 커뮤니티적 요소를 통해 상호작용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사용자를 유치할 수 있음.
- 다양한 지역에서 업로드 및 공유되는 사진들을 통해 지역의 명소나 특정 장소에 대한 관광 산업이 촉진될 수 있음.
- 소셜미디어에 강조되지 않는, 소소한 순간들에 중점을 두어 의미있는 순간을 느끼고 소통하는 공간을 제공함.
- 환경 변화나 오염 문제 등을 사진으로 공유함으로써 환경 보호 단체나 정부 기관에서 모니터링 하거나 환경 문제를 알릴 수 있음.
- 정부와 공공기관과의 연계로 투표 장소나 대피소 등의 위치 정보가 중요한 공지사항을 사진으로 공유하는 기능으로 확장 가능함.
팀원 | 팀원 | 팀장 |
---|---|---|
공소연 | 김민정 | 이지민 |
FE | BE | FE |
경제학과 | 의생명공학과 | 수학과 |
2020110210 | 2019111791 | 2020110408 |
공소연
: UI/UX, 친구 추가/요청/삭제, 써클 만들기, 프로필 편집, 사진 업로드 및 선택/삭제/ 정렬, 사진 좋아요 기능, 댓글 추가/삭제, 써클 가입 및 초대
김민정
: 서버 및 백엔드, AWS EC2, RDS, S3로 서버 구축, Github-Actions로 CI/CD 구축, S3 bucket 으로 이미지 업로드, AWS CloudFront를 사용한 CDN 서버 구축으로 최적화된 이미지 데이터 조회, 로그인 시 jwt token 발급 및 redis를 통한 refresh token 관리, Google Map의 Geocoding API를 통해 장소 검색 시 반경 2km 내의 사진 검색되도록 구현
이지민
: UI/UX, 발표, 사진 마커를 이용한 지도 클러스터링, 써클 앨범 지도 기능 등 전체 지도 기능, 사진 저장, 써클 이름 변경, 유저/써클/지도 검색 기능